-
목차
반응형서울에 살면서 내 집 마련이 막막할 때
공공임대주택은 현실적인 대안이 됩니다.
그중에서도 많은 분들이 고민하는 두 가지!바로 장기전세주택(SHift) 과 행복주택입니다.
이 글에서는 두 제도를 조건, 비용, 거주 안정성, 신청 방법까지
비교해서 내게 맞는 임대주택이 무엇인지 알려드릴게요.✅ 기본 개념부터 살펴보자
항목 장기전제주택(시프트) 행복주택 공급 주체 SH공사 (서울시 전용) SH·LH공사 (전국 공급) 공급 형태 전세 월세 임대 기간 최장 20년 6~20년 임대료 수준 전세금 고정, 시세의 60~80% 월세형, 시세의 60~80% 대상 무주택자, 서울시민 위주 청년, 신혼부부, 고령자, 사회초년생 등 청약 통장 필요 없음 필요 (청년우대형 포함) 👉 핵심 요약
- “목돈은 있지만 월세 없이 오래 살고 싶다” → 장기전세(SHift)
- “사회초년생·청년으로 월세 부담 줄이고 싶다” → 행복주택
🏘️ 장기전세주택(SHift) – 이런 분께 추천!
🎯 특징
- 최대 20년 거주 가능
- 전세금은 시세보다 30~40% 저렴
- 계약 기간 동안 전세금 고정 (물가상승 영향 X)
- 분양 아님 → 소유권은 없지만 주거 안정성 최고
👪 추천 대상
- 결혼을 앞둔 예비부부
- 전세금 마련 가능한 중산층 무주택자
- 자녀 교육 등으로 안정적인 거주 필요하신 분
🏡 행복주택 – 이런 분께 추천!
🎯 특징
- 임대료 저렴, 월세 부담 최소화
- 교통 편리한 역세권 중심 공급
- 신혼부부, 사회초년생, 대학생 등 다양한 계층 지원
- SH와 LH 모두 공급 → 서울 및 수도권 전역에서 기회 있음
👤 추천 대상
- 자취하는 청년, 대학생
- 신혼부부 & 사회초년생
- 도심 거주가 필요한 출퇴근 직장인
💰 비용 비교 (예시)
항목 장기전세 행복주택
항목 장기전세 행복주택 보증금 1억 5천만 원 ~ 3억 원 (전세) 500만 원 ~ 1천만 원 (전월세) 월세 없음 20만 원 ~ 40만 원 관리비 실사용량에 따라 실사용량 + 공동관리비 👉 장기적으로 보면, 장기전세가 더 경제적일 수 있음
🗓️ 신청 자격 & 청약 방법
✅ 장기전세
- 서울시 거주 무주택자 (우선 순위 있음)
- 청약통장 불필요, SH청약센터에서 신청
- 자산·소득 기준 있음 (중산층도 신청 가능)
✅ 행복주택
- 연령, 소득, 자산 기준 + 무주택 여부
- 청약통장 필요 (청년우대형 or 일반)
- SH·LH청약센터에서 신청 가능
- 경쟁률 매우 높음, 사전 준비 필수!
❗ 실제 입주자 후기 요약
🟩 장기전세 입주자
“처음 전세금 부담이 있었지만, 월세 없이 15년 넘게 살아서 만족합니다.”🟨 행복주택 입주자
“처음 월세가 저렴해서 좋아요. 하지만 입지가 다소 외곽인 경우도 있어요.”💬 어떤 임대주택이 나에게 맞을까?
조건 추천유형 전세금 마련 가능 + 장기 거주 원함 ✅ 장기전세(SHift) 초기 자금 부족 + 도심 월세 선호 ✅ 행복주택 청년 or 신혼부부 + 역세권 거주 원함 ✅ 행복주택 분양은 필요 없고 안정된 전세만 원함 ✅ 장기전세(SHift) 📎 함께 보면 좋은 글
반응형'이구역정책담당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서울 임대주택 시리즈] 장기전세 시프트, 무주택자에게 진짜 유리할까? (0) 2025.04.15 [서울 임대주택 시리즈⑤] 청년 1인가구를 위한 희망하우징 생생후기 (0) 2025.04.15 [서울 임대주택 시리즈③] SH vs LH, 어디가 유리할까? (0) 2025.04.15 ②서울시 공공임대주택 종류별 비교! 내게 맞는 임대주택은? (0) 2025.04.15 ①신혼부부를 위한 공공임대주택 ‘미리내집’ 첫 입주자 모집! 조건, 위치, 일정 총정리 (0) 2025.04.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