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목차
반응형서울 자취, 꿈은 꾸지만 현실은 월세 70만 원에 보증금 1,000만 원 이상?
사회초년생·대학생에겐 주거비 부담이 너무 크죠.그런데 서울시가 제공하는 역세권 청년주택을 알게 되면
“이게 진짜 되나?” 싶을 만큼 좋은 조건에 거주할 수 있는 기회가 생깁니다.오늘은 서울시의 인기 공공임대주택 중 하나인
역세권 청년주택의 위치, 신청 자격, 꿀팁까지
정리해서 알려드릴게요.✅ 역세권 청년주택이란?
- 서울시가 청년층 주거 안정을 위해 추진 중인 공공지원 민간임대주택
- 지하철역 반경 350m 이내의 역세권 지역에 공급
- 보증금·월세가 시세보다 낮고, 교통 + 생활 인프라 우수
- 만 19세 ~ 39세 청년, 사회초년생, 신혼부부 대상
🏘️ 주요 위치 안내 (2025년 기준 공급지)
자치구 역명 공급 단지 예시 마포구 공덕역, 대흥역 공덕역 인근 민간 임대주택, 대흥동 청년주택 강동구 천호역, 둔촌동역 천호역 스카이빌, 둔촌동 공공지원주택 동작구 이수역 이수 퍼스트하우스 중랑구 상봉역 상봉 청년역세권주택 (SH공급) 동대문구 신설동역, 회기역 신설동 청년하우스 성북구 정릉, 길음 정릉역세권 청년주택 예정지 은평구 불광역 불광 청년희망주택 👉 서울 전역에서 공급 확대 중, SH공사 누리집에서 지속 업데이트됨
📝 신청 자격은?
조건 세부내용 연령 만 19세 ~ 39세 이하 청년 (신청일 기준) 거주지 서울시 또는 수도권 거주자 무주택 여부 신청자 및 세대원 전원 무주택자 소득기준 도시근로자 월평균 소득의 120% 이하 (2인 가구 기준 약 550만 원 이하) 자산 기준 총자산 약 3억 원 이하, 자동차 기준가액 3,557만 원 이하 등 ❗ 조건은 공고마다 다소 차이가 있을 수 있어요. 꼭 확인하세요!
💰 임대료는 얼마나 저렴할까?
구분 시세 대비 임대료 공공지원형 시세의 85~95% 수준 (전세 or 월세) 민간제공형 시세의 70~85% 수준, SH/LH 보증금 지원 가능 역세권특화형 서울시 전세금 지원, 월세 보조 연계 가능 예시) 상봉역 인근 청년주택:
보증금 2천만 원 / 월세 27만 원
관리비 포함 35만 원 내외
신축, 풀옵션 제공 (에어컨, 인덕션, 냉장고, 세탁기 포함)
📌 신청 방법 가이드
- SH공사 홈페이지 접속 👉 SH공사 청약센터 바로가기
- 공고 확인 후 대상자 요건 및 제출 서류 준비
- 온라인 또는 방문 접수 진행
- 선정 → 계약 → 입주자 교육 → 입주
💡 공고는 정기/수시로 뜨기 때문에 SH 블로그나 홈페이지 '알림 설정' 추천!
🎯 이런 분께 추천!
✅ 출퇴근 시간 단축하고 싶은 사회초년생
✅ 교통 편한 자취방 찾는 대학생
✅ 고시원/쉐어하우스 대신 독립 공간 원하시는 분
✅ 신혼 초기에 주거 안정 필요하신 부부
🧾 실제 후기 한 줄 요약
“회사 도보 5분 거리, 월세 30만 원이라니… 이런 기회 다시 없어요.”
“원룸보다 구조 깔끔하고, 관리도 SH가 해줘서 안심돼요.”
“월세 아끼고 자산 쌓기 딱 좋은 공간!”📎 함께 보면 좋은 글
- 👉 [서울 임대주택 시리즈①] 서울시 공공임대주택 종류 총정리
- 👉 [서울 임대주택 시리즈⑤] 청년 1인가구를 위한 희망하우징 생생후기
- 👉 [서울 임대주택 시리즈④] 장기전세 vs 행복주택, 어떤 게 더 나을까?
역세권 청년주택은 단순한 '저렴한 원룸'이 아닙니다.
서울에서 교통 + 주거 + 경제성을 모두 잡을 수 있는
청년 세대를 위한 전략적 공간이에요.매달 월세에 허덕이고 있다면,
오늘부터 역세권 청년주택 공고 확인을 루틴으로 만들어보세요!반응형'이구역정책담당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 신혼부부 전세대출 총정리 – 조건, 금리, 꿀팁까지! (0) 2025.04.15 [서울 임대주택 시리즈⑦] 2025년 신혼부부 전세대출 & 임대주택 혜택 총정리 (0) 2025.04.15 [서울 임대주택 시리즈] 장기전세 시프트, 무주택자에게 진짜 유리할까? (0) 2025.04.15 [서울 임대주택 시리즈⑤] 청년 1인가구를 위한 희망하우징 생생후기 (0) 2025.04.15 [서울 임대주택 시리즈④] 장기전세 vs 행복주택, 어떤 게 더 나을까? (0) 2025.04.15